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문장궤범 3

4월 22일, 오늘 명심할 명언 (112)

4월 22일, 오늘 명심할 명언 (112) 세상에 백락이 있어야 천리마가 있다. 世有伯樂, 然後有千里馬. (文章軌範) 세유백락. 연후유천리마. (문장궤범) 은 중국의 말을 감정하는 명인이고 는 하루에 천리를 다린다는 준마를 말한다. 준마란 백락이 있어야 찾아낼 수 있다는 말이다. 사람도 준마와 같은 재능이 있더라도 알아주는 사람이 없으면 나타나지 않는다. * 참고 일화 어떤 사람이 준마를 팔려고 시장에 삼일이나 내놓았으나 아무도 보아주는 사람이 없었다. 그는 백락을 찾아가서 우리말을 감정해 달라고 부탁했다. 이 부탁을 받은 백락은 시장에 내놓은 말 주위를 들러보고서 떠나가면서 다시 보고 갔다. 그러자 그 말이 시세가 10배나 올랐다 한다. * 중국 송나라의 사방득(謝枋得)이 편찬한 당송(唐宋) 고문(古文..

오늘의 명언 2022.04.22

1월10일, 오늘 명심할 명언 (10)

1월10일, 오늘 명심할 명언 (10) 세상이 어지러움을 먼저 걱정하고, 세상이 다 즐긴 다음에 즐긴다. 先憂後楽. (文章軌範, 岳陽樓記, 范仲淹) 선우후락. (문장궤범, 악양루기, 범충암) 세상 사람들보다 먼저 국가 사회를 걱정하고 문제를 해결 하려고 노력해야 하고, 세상 사람들이 모두 즐긴 다음에 즐겨야 한다. 이것이 지도자로서의 지킬 일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JUVK0AmTSKc

오늘의 명언 2022.01.10

4월 22일, 오늘 명심할 명언

4월 22일, 오늘 명심할 명언 세상에 백락이 있어야 천리마가 있다. 世有伯樂, 然後有千里馬. (文章軌範) 세유백락. 연후유천리마. (문장궤범) 은 중국의 말을 감정하는 명인이고 는 하루에 천리를 다린다는 준마를 말한다. 준마란 백락이 있어야 찾아낼 수 있다는 말이다. 사람도 준마와 같은 재능이 있더라도 알아주는 사람이 없으면 나타나지 않는다. * 참고 일화 어떤 사람이 준마를 팔려고 시장에 삼일이나 내놓았으나 아무도 보아주는 사람이 없었다. 그는 백락을 찾아가서 우리말을 감정해 달라고 부탁했다. 이 부탁을 받은 백락은 시장에 내놓은 말 주위를 들러보고서 떠나가면서 다시 보고 갔다. 그러자 그 말이 시세가 10배나 올랐다 한다. * - 중국 송나라의 사방득(謝枋得)이 편찬한 당송(唐宋) 고문(古文)의 명..

오늘의 명언 2021.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