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동물실험 2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4)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4) 4, 악질인 침입성기억만 지우면, 기억장해의 치료에 이어진다. Sheena Josselyn(런던대학생리학부교수, 기억에 관한 신경기질의 연구 및 그 연구 성과 를 바탕으로 학습 장해나 기억장해의 치료법을 연구한다.) 과학의 진전은 눈부셔서 기억이 어떻게 형성되고 보존되고 뇌 안에서 기능하고 있는지가 밝혀지고 있다. 지금은 기억이 *이라 불리는 뇌세포구릅에 보존되는 것도 알고 있다. 이미 몇 사람의 연구자는 마우스를 쓴 실험에서 기억에 관계되는 엔그램을 특정하여 그 기억만(이미 기억이 아닌)을 저해(또는 소거)할 수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물론 이들 연구는 최첨단기술을 구사하여 행해진 동물실험이어서 같은 기술이 인간에게 적용하기까지에 이르지는 않았다. 그러나 엔..

과학/과학 2022.01.27

항바이러스 약에 대하여 (3)

항바이러스 약에 대하여 (3) 속속 등장하는 신종코로나 항바이러스 먹는 약. -지금 알고 있는 것은- 항바이러스 약 개발의 복잡한 도정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약의 개발은 용이하지 않다. 1963년에 최초의 항바이러스 약인 이독수리딘(Idoxuridine)이 눈의 헤르페스(herpes)의 치료약으로서 승인된 이래 FDA에서 승인된 항바이러스 약은 100종류가 넘는다. 그 중 3분의 1 이상은 항HIV 약이다. 지금까지의 항바이러스 약 개발에는 특정 바이러스 구릅에 공통하는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의 어프로치가 중심이었다. 이러한 항바이러스 약은 매우 효과적인데 바이러스는 독자의 단백질을 거의 만들지 않고 제약회사가 표적으로 하는 단백질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다. 또 항바이러스 약이 사람의 세포에 손상을..

과학/과학 2021.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