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돌연변이 7

수명을 100세까지 연장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

수명을 100세까지 연장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 !? 인류의 수명은 얼마까지 연장할 수 있을까? 혹시 실행할 수 있다면 인류의 수명을 확실하게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어느 연령 예를 들면 35세가 될 때까지는 아기 낳는 것을 금지한다. 라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는 법률을 만들면 좋다. 그래서 그것을 몇 백 년이라도 계속한다면 이번에는 아이를 낳아도 좋은 연령을 40 세로 인상할 것이다. 그런 일을 반복하면 볼 때 마다(어떻든 수 천 년은 걸릴 것이지만) 우리들의 수명은 수 백세에 달할 것임에 틀림이 없다. 이것은 실행될 수가 없다는 의미로는 반 농담이지만 실제로 효과가 있다고 하는 의미에서는 반은 진짜이다. 우리들은 몇 가지의 중대한 일을 생각하지 않고 살고 있다. 그러는 중에 하나는 우리들의 ..

과학/과학 2022.09.15

인간의 세포는 7년마다 모두 교체된다고 한다.

인간의 세포는 7년마다 모두 교체된다고 한다. -그 말은 참말인가.- 인간의 몸은 몇 조 개의 세포로 되어 있다. 오늘 있는 세포는 내일은 전혀 같은 것이 아니다. 세포는 시간과 더불어 노화하고 상처를 입으므로 항상 복제되어 바뀐다. 이 끊임없는 세포의 활동이 어떤 생각을 낳았다. 라는 것이다. 곧 7년 주기로 다른 신체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과연 그것은 참말인가? 실제는 그리 단순하지 않은 것 같다. 신체의 장기나 부위에 따라서는 수개월로 완전히 바뀌는 세포도 있고 뇌세포처럼 태어났을 때와 거의 변하지 않는 세포도 있다. 세포의 교체의 주기는 기관에 따라 다르다 스웨덴 카로린스카 연구소(Karolinska Institutet)의 오라프 버그만 씨에 따르면 피부나 장과 같은 세포는 매우 빠르게 교체되고..

과학/과학 2022.09.12

어째서 생물은 진화하는가. 역시 불가사의하다(2/2)

어째서 생물은 진화하는가. 역시 불가사의하다(2/2) 진화의 메커니즘은 4개 밖에 없다. 확실히 하디 웨인베르크의 정리가 말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인지 모른다. 유전자빈도에서 유전자형빈도를 예측할 때 등에는 편리할는지 모르나 그것을 따로 한다면 고 말하고 있는 것뿐이니까. 그러나 하디 웨인베르크평형이란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 것일까. 실은

과학/과학 2022.04.15

진화학의 금자탑 <진화론>, DNA시대의 모순을 해소하는 설이란, (3/3)

진화학의 금자탑 , DNA시대의 모순을 해소하는 설이란, (3/3) 유전적부동(浮動)과 자연도태 유전적부동이란 유전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유전자빈도가 우연히 변화하는 현상이고 생물의 개체수가 유한인 데서 생긴다. 구체적인 상황을 생각해 보기로 하자. 어느 지역에 남녀가 50명씩 100명으로 생활하고 있다고 하자. 이 어미세대에서 차세대가 생긴다. 이들 인간이 가진 어느 특정의 유전자좌(座)에 대해서는 ●와 ○의 2종류의 유전자가 있고, 같은 타입이 2개가 있는 개체는 호모접합체(homozygous)이고, ●와 ○를 1개씩 가진 개체는 *헤테로접합체(heterozygote)이다. ===*호모접합체(homozygous)또는 동형접합체는 유전학에서 이배체생물(二倍體生物)의 어떤 유전자좌(遺傳子座)가 AA , B..

진화학의 금자탑 <진화론>, DNA시대의 모순을 해소하는 설이란, (2/3)

진화학의 금자탑 , DNA시대의 모순을 해소하는 설이란, (2/3) 분자진화학의 탄생과 중립진화론 20세기 후반에는 유전자의 물질적 본체인 DNA를 직접 취급하는 연구가 급속히 발전하였다. 그에 따라서 생물의 진화를 단백질이나 DNA 등의 분자레벨에서 연구하는 분자진화학이 1960년대에 탄생하였다. 처음은 DNA의 염기배열을 간단히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 발명되지 않았으므로 여러 가지 생물의 단백질의 아미노산배열을 결정하여 비교하였었다. 그 결과 자연도태의 생각으로는 잘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다수 발견되게 되었다. 같은 종류의 단백질(예를 들면 헤모글로빈/Hemoglobin을 구성하는 글로빈)의 아미노산의 다름을 여러 가지 생물에서 비교하자 시계와 같이 규칙 바르게 시간을 찍고 있는 것처럼 보이므..

게놈 연구에 의하여 사람에 이르는 유전자진화는 어디까지 알고 있나. (3)

게놈 연구에 의하여 사람에 이르는 유전자진화는 어디까지 알고 있나. (3) 위유전자에 의한 진화의 예 원원(原猿) 이외의 영장류에서 비타민C합성에 필요한 유전자기능이 상실되고 있는 것은 식물(食物)에서 접종하는 것처럼 되어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 하나의 유전자의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 등의 유전자진화패턴인 위유전자화에 의한 진화의 예로서 유명한 것에는 비타민C의 합성효소의 결손이 있다. 영장류도 모르모트, 코끼리 등을 제외하고 많은 포유류는 스스로 비타민을 합성시키지만 원원(原猿) 이외의 영장류에서는 비타민 C 합성에 필요한 유전자(구로놀락톤(gulonolactone)산화효소유전자)가 위유전자화하여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영장류에서는 잎이나 과실 등의 식물에서 비타민C를 섭취할 수 있으므로 이 유전자가..

게놈 연구에 의하여사람에 이르는 유전자진화는 어디까지 알고 있나?(1)

게놈 연구에 의하여 사람에 이르는 유전자진화는 어디까지 알고 있나. (1) 사람은 매우 발달한 뇌를 가지고 언어를 구사하며 이족보행을 하고 손을 자유로 쓸 수 있게 진화해왔다. 이처럼 고도의 체제를 가진 사람을 포함하여 생물의 구조를 만들어낸 정보는 유전자에 의하여 어버이로부터 아들 세대로 전해진다. 이 유전자 정보는 2줄의 사슬의 나선구조를 한 DNA(디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DNA)이라는 물질에 의하여 세포의 핵 안에 가지고 있다. 생물을 만드는 DNA유전자정보 모두를 갖춘 것을 게놈(genome/유전체)이라고 한다. 게놈은 생물이 보다 복잡한 체제에로 진화하는 가운데 유전자수를 증대시켜 새로운 기능을 획득해왔다. 게놈의 진화와 함께 유전자자체의 기능도 변화해 왔다. 인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