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기억의 재고정화 3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5)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5) 6, 장기기억의 재고정화에서 *프로테인키나제의 생성을 저해하면 그 기 억만을 지울 수 있을는지 모른다. Todd Sacktor(뉴욕주립대학 다운스테이트 메디칼센터 /SUNY Downstate Medical Center /생리학. 약리학. 마취학. 신경학 교수. 장기기억의 저장에 관한 분자레벨의 메커 니즘을 연구. 세계의 선구로 프로테인키나제 M제타(약PKMzeta)를 발견했다.) 기억이 어떻게 저장되는지 금후에도 이해를 깊임에 따라 특정한 장기기억을 지울 수 있을 가능성은 높을 것이다. 기억은 뇌 안의 신경세포를 네트워크화 하는 *시냅스 결합의 강도의 지속적변화로서 저장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학습 후 곧바로 시냅스 결합이 강화되기 시작하여 수십 년에까지..

과학/과학 2022.01.28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3)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3) 3, 기억의 편집은 가까운 시기에 실현될 것 같다. 스티브 마렌(Steve Maren, 텍사스A&M대학 심리학. 뇌과학 교수. 주로 감정적인 기억을 둘러싼 뇌의 메커니즘에 대하여 연구) 기억의 편집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기억이라는 것이 원래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가능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어떻든 기억을 불러오는 행위자체가 그 기억을 변하게 가는 것이니까. 이것은 기억의 특징의 하나이다. 상황이 변했을 때에 기억에 새로운 정보가 더해지게 되어 있다. 기억의 자체 기억이 뇌의 신경세포 사이에 도는 네트워크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각인시키는 것이 아니라 경험이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화해 가는 것을 말하고 있다. 최근에 이 재고정화의 ..

과학/과학 2022.01.26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2)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2) 2, 기억의 재고정화(再固定化)를 조작하면, 기억 그 자체를 지울 수도 있 을는지 ? Jason Chan(아이오와주립대학 심리학 부교수; 인간의 기억에 대한 연구에 종사) 현재 신경생물학과 임상적인 관점에서 라는 현상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기억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고정화한다. 이 자체는 이미 100년 정도 전부터 알려지고 있다. 사람이 무엇을 학습하거나 무엇을 경험하면 뇌 안의 단백질 합성에 변화가 일어나서 기억이 고정화 혹은 안정화된다. 한편 60년대에는 를 제기한 사람들이 있었다. 생각하는 방법으로는 이미 고정화된 기억이 불려서 돌아올 때 그 기억은 지금 한번 불안정한 상태로 돌아오므로 재고정화 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이 생각하는 방법을..

과학/과학 2022.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