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경험 5

인공지능과 심층학습(1/3)

인공지능과 심층학습(1/3) 1) AI(인공지능)이란?Deep Learning(심층학습)이란 와 의 기본적 개념을 소개한다. 먼저 알아둘 것은 AI는 종합적인 개념과 기술이고 Deep Learning은 AI를 지탱하는 수법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인간은 동물을 보았을 때 를 순간 판단한다. 그 메커니즘은 눈이나 귀로 얻은 정보를 경험, 지식과 비추어보아서 추측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AI의 기본적인 개념도 같아서 인간의 뇌가 행하고 있는 을 컴퓨터로 모방하는 데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이 이다. AI도 경험. 지식이 없다면 추측하지 못하고 적절한 회답을 이끌어내지 못한다. 거기서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법칙이나 룰 등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그 학습방법은 이라 하고 이라는 수법도 있다. 인간도 어릴 때는..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4)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4) 4, 악질인 침입성기억만 지우면, 기억장해의 치료에 이어진다. Sheena Josselyn(런던대학생리학부교수, 기억에 관한 신경기질의 연구 및 그 연구 성과 를 바탕으로 학습 장해나 기억장해의 치료법을 연구한다.) 과학의 진전은 눈부셔서 기억이 어떻게 형성되고 보존되고 뇌 안에서 기능하고 있는지가 밝혀지고 있다. 지금은 기억이 *이라 불리는 뇌세포구릅에 보존되는 것도 알고 있다. 이미 몇 사람의 연구자는 마우스를 쓴 실험에서 기억에 관계되는 엔그램을 특정하여 그 기억만(이미 기억이 아닌)을 저해(또는 소거)할 수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물론 이들 연구는 최첨단기술을 구사하여 행해진 동물실험이어서 같은 기술이 인간에게 적용하기까지에 이르지는 않았다. 그러나 엔..

과학/과학 2022.01.27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3)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3) 3, 기억의 편집은 가까운 시기에 실현될 것 같다. 스티브 마렌(Steve Maren, 텍사스A&M대학 심리학. 뇌과학 교수. 주로 감정적인 기억을 둘러싼 뇌의 메커니즘에 대하여 연구) 기억의 편집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기억이라는 것이 원래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가능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어떻든 기억을 불러오는 행위자체가 그 기억을 변하게 가는 것이니까. 이것은 기억의 특징의 하나이다. 상황이 변했을 때에 기억에 새로운 정보가 더해지게 되어 있다. 기억의 자체 기억이 뇌의 신경세포 사이에 도는 네트워크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각인시키는 것이 아니라 경험이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화해 가는 것을 말하고 있다. 최근에 이 재고정화의 ..

과학/과학 2022.01.26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2)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2) 2, 기억의 재고정화(再固定化)를 조작하면, 기억 그 자체를 지울 수도 있 을는지 ? Jason Chan(아이오와주립대학 심리학 부교수; 인간의 기억에 대한 연구에 종사) 현재 신경생물학과 임상적인 관점에서 라는 현상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기억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고정화한다. 이 자체는 이미 100년 정도 전부터 알려지고 있다. 사람이 무엇을 학습하거나 무엇을 경험하면 뇌 안의 단백질 합성에 변화가 일어나서 기억이 고정화 혹은 안정화된다. 한편 60년대에는 를 제기한 사람들이 있었다. 생각하는 방법으로는 이미 고정화된 기억이 불려서 돌아올 때 그 기억은 지금 한번 불안정한 상태로 돌아오므로 재고정화 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이 생각하는 방법을..

과학/과학 2022.01.25

시간이 없다고 한탄하는 사람이 모르는 <80 : 20의 법칙>(4)

시간이 없다고 한탄하는 사람이 모르는 (4) 는 말하기보다 간단하지 않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는 것은 말처럼 간단하지 않다는 점이다. 언어의 습득이나 일 전반에 걸쳐서는 기지의 정보나 경험에서 어디가 파레토법칙의 80%의 가치를 낳고 있는 20%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지만 그 이외 부분에서는 예단은 금물이다. 일본에서는 흔히 사업 분야에서의 예산이나 자원의 분배에 대해서 을 말한다. 예를 들면 과학연구 예산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에 있어서 금후 큰 성과를 전망할 수 있는 분야에 을 행하여 단기간에 큰 회수를 얻으려는 상태이다. 이 수법은 선택한 부분이 참으로 성장할 것인지 어떤지에 리스크가 잉태해있다. 성장이 전망되는 부분 중요한 부분을 미리 알고 있다면 선택과 집중은 잘 된다. 그러나 현실..

상식 202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