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강산성 2

<초 과혹>한 장소에서 <1억년>이나 산 미생물에서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한다.(3/3)

한 장소에서 이나 산 미생물에서 를 생각한다.(3/3) 미생물의 생존전략 미생물들은 어째서 모처럼 과혹한 환경에서 살고 있는 것일까. 모로노 씨가 분석한 고치(高知)의 무로도갑충(室戸岬沖)에서 굴착된 해저의 지층샘플 에서 미생물의 교묘한 생존전략에 다그칠 열쇠가 발견되었다. 해저 밑 지층은 일반적으로 깊어질수록 고온이 되고 어느 일정 온도가 넘으면 보통의 미생물은 살 수 없는 환경이 된다. 그런데 모로노 씨가 코아의 각각의 깊이의 장소에 어느 정도의 양의 미생물이 있는지를 조사해본바 기묘한 현상이 보였다. 먼저 해저 면에 비교적 가까운 깊이 200m의 온도라고 추정되는 지층에는 미생물이 1입방 센티미터 당 세포 수 1만 개 이상 존재하고 있었다. 보다 깊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미생물의 수는 일단 감소하..

과학/과학 2022.12.07

<초 과혹>한 장소에서 <1억년>이나 산 미생물에서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한다.(2/3)

한 장소에서 이나 산 미생물에서 를 생각한다.(2/3) 미생물로서 극한환경은 의 환경!? 이외에도 지구의 여러 가지 극한환경에서 사는 생물이 근년 속속 발견되고 있다. 인도양의 열수분출공에서 발견된 미생물은 최대 122도C라는 고온에서도 증식된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또 남아프리카의 금 광산의 지하 3200m에서 발견된 미생물은 PH12.5라는 표백제에 상당하는 강알칼리성의 환경에서 증식 가능하다. 한편 유산에 상당하는 PH-0.06의 강산성의 환경에서 증식 가능한 미생물도 발견되고 있다. 다시 방사선에 강한 미생물도 존재한다. 세계 각지의 사막에서 발견되고 있는 데이노코카스 라디오듀란스(Deinococcus radiodurans/이라는 뜻)라는 방사선내성세균으로 약 70년 전의 미국에서 방사선으로 살..

과학/과학 202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