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알 옹앙 논버벌 퍼포먼스(Non-verbal performance):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Nonverbal Communication)
눈을 기울이고 코를 기울이고 귀를 기울이고
돌봄 현장에서 어르신들의 몸짓을 자세히 관찰하면 그들의 성향이나 기호, 그리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 수 있다. 그들의 요구와 감정은 표정이나 몸의 움직임 속에서 드러난다. 어르신들의 표출은 말보다 더 강렬한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우리가 이를 이해하고 반응할 수 있을 때 진정한 소통이 이루어진다.
(논버벌 퍼포먼스(Non-verbal performance)는 대사나 언어적 소통 없이 몸짓, 표정, 동작, 음악, 소리, 조명 등의 비언어적 요소를 통해 메시지나 이야기를 전달하는 공연을 의미. 예를 들어, 넌버벌 퍼포먼스에는 *마임, *댄스, *몸짓극, *퍼커션 공연 등이 포함. 언어 장벽을 초월해 전 세계 관객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다는 점이 특징.)
아이들은 세상을 처음 만나며 언어 대신 옹알거림으로 자신을 표현한다. 그들의 옹아리는 어색하고 모호하지만 동시에 사랑스럽고 무한한 가능성을 담고 있다.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그 옹알거림 속에는 감정과 요구가 숨겨져 있다. 그런데 이런 옹아리는 어린아이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나이가 들어 기억이 희미해지고 말이 서툴러지는 어르신들에게서도 비슷한 형태로 나타난다. 그들의 옹아리는 때때로 서술적이고 맥락을 가진 이야기를 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두서 없는 말들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 말 속에는 어르신들의 감정과 삶의 흔적이 담겨 있다.
할머니들이 무의미해 보이는 말들을 반복하거나, 혼잣말처럼 이야기를 이어나갈 때 우리는 그저 그들의 혼란으로 치부할 수 있다. 그러나 눈을 기울이고, 코를 기울이고, 귀를 기울이면 그 말 속에 깊은 이야기가 숨겨져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들의 옹알거림은 때로는 지금 이 순간의 감정을 표현하고, 때로는 과거의 기억을 되새기며, 꿈결 같은 환상 속을 헤매기도 한다. 그 속에는 현재 느끼는 외로움이나 불안, 혹은 뭔가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을지도 모른다.
그들의 옹아리는 단순히 무의미한 말이 아니라, 그들의 몸짓, 표정, 소리, 그리고 손짓과 발짓까지 모두 포함된 하나의 '논버벌 퍼포먼스'이다. 말로는 다 표현하지 못하지만, 그들은 끊임없이 자신을 표현하고 있다. 할머니의 작은 손짓, 표정의 미묘한 변화, 몸의 움직임과 자세는 그들이 전하는 메시지다. 그 속에는 그들만의 세상과 이야기가 있고, 이를 읽어내는 것은 우리의 몫이다. 어르신들의 비언어적 표현은 우리가 귀를 기울일 때 비로소 의미를 가진다.
아이들의 옹아리는 그들의 감정과 욕구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하지만, 어르신들의 옹아리는 때로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들의 말과 행동이 혼란스럽고 비논리적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속에도 분명한 감정과 의미가 담겨 있다. 그들은 여전히 자신의 감정과 요구를 표출하고 있으며, 우리가 그들의 옹아리에 귀를 기울일 때 비로소 그들의 진정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어르신들은 단순히 나이가 들어가며 더 이상 의미 있는 이야기를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의 삶은 여전히 그들만의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그들의 몸짓 하나하나가 하나의 예술이다. 눈을 기울이고, 코를 기울이고, 귀를 기울이면 그들의 옹아리가 하나의 이야기로 다가온다.
-------------------
###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Nonverbal Communication)이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말이나 글을 사용하지 않고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몸짓, 표정, 눈빛, 자세, 공간 활용, 옷차림, 목소리 톤 등 다양한 방식이 포함됩니다. 사람들은 이를 통해 감정, 태도, 의도를 전달하며, 때로는 언어보다 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 1. **신체 언어 (Body Language)**
- **표정 (Facial Expression)**: 미소, 찡그림, 놀람 등 얼굴 표정은 감정을 직접적으로 전달합니다.
- **제스처 (Gestures)**: 손짓, 머리 움직임, 팔의 위치 등은 특정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엄지척 👍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 **자세 (Posture)**: 서 있는 자세나 앉아 있는 방식은 자신감, 불안함, 권위 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2. **시선 (Eye Contact)**
- 상대방과의 눈맞춤은 관심과 신뢰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너무 오래 지속되면 공격적으로 보일 수도 있고, 회피하면 불안하거나 신뢰 부족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 3. **촉각 (Haptics)**
- 악수, 포옹, 어깨를 두드리는 행위는 친밀감, 위로, 권위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 문화에 따라 허용되는 신체 접촉의 정도가 다릅니다.
### 4. **공간 활용 (Proxemics)**
- 사람들 사이의 물리적 거리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 가까운 거리는 친밀함을, 먼 거리는 공식적인 관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5. **목소리 (Paralinguistics)**
- 목소리의 높낮이, 속도, 볼륨, 억양 등은 말의 의미를 강화하거나 반대로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말하느냐에 따라 감정이 달라 보일 수 있습니다.
### 6. **외모와 의상 (Appearance & Clothing)**
- 옷차림과 외모는 상대에게 첫인상을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 전문적인 업무 환경에서는 단정한 복장이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
---
##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 **신뢰와 공감 형성**: 적절한 비언어적 신호는 상대방과의 신뢰를 쌓고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 **오해 방지**: 언어적 메시지와 비언어적 신호가 일치하면 의사소통의 명확성이 높아집니다.
- **리더십과 영향력 강화**: 강한 눈맞춤과 자신감 있는 자세는 리더십을 돋보이게 합니다.
- **문화적 차이 이해**: 각 문화마다 비언어적 표현 방식이 다르므로 이를 이해하면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향상됩니다.
---
## **효과적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팁**
✔ **거울을 보고 자신의 표정과 자세를 점검해보세요.**
✔ **자연스러운 눈맞춤을 유지하되, 부담스럽지 않게 조절하세요.**
✔ **상황에 맞는 목소리 톤과 속도를 조절하세요.**
✔ **상대방의 신호를 읽고 그에 맞춰 반응하세요.**
✔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비언어적 표현을 사용하세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단순한 몸짓 이상의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를 잘 활용하면 대인관계와 소통 능력이 더욱 향상될 것입니다.
'돌봄의 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봄의 시대 5. 배설물과 카레 (카레의 효능) (0) | 2025.02.15 |
---|---|
돌봄의 시대 4. 접기의 달인 집착의 달인 : 접고 여미고 각을 세우고 /손끝 감각에 대해서 (0) | 2025.02.09 |
돌봄의 시대 3. 우리 아들 온다 켄나?! 치매와 틱 장애: 반복의 의미 (0) | 2025.02.08 |
돌봄의 시대 2. 틀니를 낀 지킬 하이드 (0) | 2025.02.02 |
돌봄의 시대 1. 프롤로그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