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상식

2030년, 인공지능에도 로봇에게도 뺏기지 않을 직업

간천(澗泉) naganchun 2017. 5. 27. 17:13



2030, 인공지능에도 로봇에게도 뺏기지 않을 직업

 

전날 와이어드(WIRED=올 컬러의 월간 미국 잡지이다. 19933월부터 출판하여 기술이 문화, 경제, 정치에 미친 영향을 보고한다)의 이 기사에 흥미로운 내용이 적혔었다. 그 기사를 잘 읽어보면 8개의 직업은 참 일부만으로 그칠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 WIRED의 기사의 정보원은 캐나다의 CST라는 장학금 관련이라고 생각되는 단체가 발표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2030년 캐나다에서 살아있는 직업으로서 58개의 직업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WIRED가 독자적으로 8개의 직업을 픽업한 모양이다.

그러므로 WIRED의 기사는 인공지능에도 로봇에게도 빼앗기지 않을 새로 생긴 혹은 증가하는 직업은 8개보다 더 많이 있고, 어디까지나 2030년을 상정한 미래의 직업이라는 것이다. 달리 어떤 직업이 있는지 하고 생각했으므로 보아하니 재미있는 것이 있었다. 거기서 몇 개를 픽업해 보았다. 어떤 수요가 증가할는지를 안다면 비지니스도 생각하기 쉬울 것이다.

 

미래에 새로 생길 혹은 증가할 직업

먼저 2030년 캐나다의 대표적인 직업이라 할 수 있을는지 모를 지금은 없지만 진기한 직업부터 보기로 한다.

 

(1) 인쇄업(단지 3D)Print Shop Manager

2030년은 지금보다 3D프린트가 성업을 이룰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등장하는 것은 3D프린트업종인데 이미 준비하고 있는 곳도 있다. 점점 증가할 것이다.

(2) 디지털 통화 어드바이서Digital Currency Advisor

가상통화로 유명한 것은 Bitcoin이다. 20142월에 마운트 곡스라는 Bitcoin 교환소가 거래정지가 되어 세간을 떠들썩하게 하였는데, Bitcoin 자체가 없어진 것은 아니다. 2030년을 향하여 달리도 여러 가지 가상통화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종래의 통화하고는 달라서 나라에 묶이지 않는 새로운 통화에 대하여 자세히 아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도 생기므로 거기에 직업이 생긴다는 것이다.

(3) 사물이나 사상을 단순하게 잡는 전문가Aquaponic Fish Farmer

2030년에는 어획량이 줄어서 자연에서 고기를 잡는 것은 어렵다고 한다. 그래서 아쿠아보닉스라는 수산양식과 물재배( 흙 대신에 물에 양분을 함유시켜서 재배하는 방법)을 믹스한 고기와 식물(채소)를 동시에 가꾸는 시스템이 성해져서 그것이 직업이 될 것 같다.

(4) 쓰레기 설계자(Garbage Designer

폐기물이 적어지도록 제품을 설계하는 전문가이다. 사이클에서는 아니고 업사이클이라는 폐기물을 보다 고품질의 제품 제작에 활용하는 준비를 추진하는 직업이다. 물론 폐기물을 적극적으로 줄이는 제품 만들기를 목표로 하는 것도 요구된다.

(5) 도회의 농가Urban Farmer

수직농장이라고 불리는 차세대의 재배방법의 등장으로 도회에서도 농산물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교외가 아니라도 농업을 할 수가 있다. *수직농장이란?

(6) 바이오필름 설치자(Biofilm lnstaller

바이오필름이라는 쓰레기나 오물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아이템이 일반적이 된다. 그에 따라서 배수처리나 쓰레기처리가 가능해 진다고 한다. 필름을 설치하는 것은 개인으로서는 무리이므로 필름을 가정에 도입하는 직업이 생긴가.

(7)노스텔지스트Nostalgist

과거의 기억을 추체험하기 위한 환경을 준비하는 직업이다. 고령자를 향한 서비스로 그들이 젊었을 때의 거실이나 학생시대의 기숙사 등을 재현한다고 한다.

 

미래에도 없어지지 않은 직업

 

(8) 댄서(Dancer

단지 댄서에 대해서는 새로 3가지 요소가 더해진다고 한다. 첫째는 우주관광산업으로 무중력공간에서의 댄스가 주목된다는 것이다. 둘째는 댄스의 파트너가 로봇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댄스 선생은 인간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셋째는 몸의 움직임을 보조해주는 장치가 등장하여 장애자나 고령자도 적극적으로 댄스를 즐길 수 있다고 한다. 3가지의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9) 패션 디자이너Fashion Designer

패션디자이너도 지금과 같다는 것은 아니다. 에어라블디바이스가 침투하고 있으므로 그것들을 어떻게 구성하는가를 생각할 필요가 있게 된다.

(10) 변호사Lawyer

변호사는 장래는 없어질 것이라고 하는데 2030년에는 아직도 건재하다. 오히려 현재보다 국제적인 교류가 성해져서 법률면의 수요가 아직도 있다는 것이다.

(11) 회계사(Accountant

회계사도 변호사도 장래는 없질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회계사도 변호사도 현재보다 더 국제적인 교류가 성해져서 더 필요하게 된다. 오히려 지금까지의 회계 업무가 계속된다는 것이다.

(12) 배관공(Plumber

인프라와 관계되므로 종래처럼 수요가 있을 것이다. 배관공을 쓰고 있는 이유는 물 사용량의 삭감을 통한 가격 삭감으로의 공헌이 있기 때문이다. 달리도 온수 파이프를 쓴 마루 난방 구조나 태양에너지의 전문가와 제휴하여 물 살균 시스템을 만드는 데도 필요하다.

(13) 약제사(Pharmacist

고령화가 진전되는 것과 테크노로지의 진보에 따라 약제사의 역할은 바뀔 모양이다. 테크노로지의 발전으로 조제 시간은 단축되지만 고령자에 대한 간호시간이 길어진다.

(14) 경찰관(Police Officer

테크노로지가 발전하여도 치안유지는 필요하다. 현재와 다른 점은 사이버범죄 대책이 증가할 것이다. 테크노로지의 발전에 딸 범죄도 변할 것이다.

출처=WIRED, 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