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역사의 수수께끼/역사의 수수께끼

수수께끼의 고대 도시 페트라. (3)

간천(澗泉) naganchun 2025. 4. 30. 03:08

수수께끼의 고대 도시 페트라. (3)

==한때는 3만 명이 살았던 장밋빛 고도(古都), 누가 만들고 왜 버려졌을까==

 

페트라에서의 삶은 어땠을까?

과일, 곡물, 육류 등, 나바테아인이 먹었던 음식에 대한 정보도 발굴되고 있다. 알 살민 박사에 따르면, 파피루스에 기록된 매매 계약서에서 그들의 농업을 엿볼 수 있다고 한다. 또 동물 뼈 등 제사 음식의 흔적이 무덤이나 연회장 주변에서 발견되었다.

나바테아인이 연회를 열었다는 증거는 매우 많습니다.” 페리 박사는 말한다.

페트라 북쪽의 베이다 지역에서는 작물과 나무가 재배되었고, 식사 유물을 통해 페트라 주민들이 사해에서 수입한 생선을 먹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사막 한가운데 위치한 페트라가 번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물 한 방울도 놓치지 않는 고도의 급수 시스템덕분이었다고 알 살민 박사는 말한다. 나바테아인은 도시 외부의 샘에서 물을 끌어오고, 암석에 수로를 파서 빗물을 모았으며, 댐과 저수지도 건설했다.

 

왜 페트라는 버려졌는가?

서기 363년의 지진으로 페트라의 많은 건축물이 무너졌다. 그 후 몇 세기 동안 다시 지진이 일어나면서 인구가 줄어들었다.

이 지진들로 인해 페트라의 수자원 인프라가 파괴되었다. “이것이 페트라가 점차 버려진 이유입니다.” 알 살민 박사는 말한다. 주민들은 샘 근처의 마을로 이주했다.

 

페트라에 대해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들은?

주거지를 포함한 페트라의 대부분은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아직도 해답을 찾지 못한 질문이 수백 가지나 됩니다.” 알 살민 박사는 말한다. 연구자들은 나바테아인의 인간관계, 가족 구조, 생계 방식, 제물 외의 신과의 관계 등, 일상의 여러 측면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한때 활기가 넘쳤던 이 도시에 대해 고고학자들이 배워야 할 것은 여전히 많다. 사람들이 실제로 살던 건물 대부분은 비종교적 건물과 함께 붕괴되었다.

페리 박사에 따르면, 두 번의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는 약 3만 명이 페트라에 거주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 있는 것은 무덤뿐만이 아닙니다. 페트라는 결코 죽은 자의 도시가 아닙니다.”(계속)

 

* : 캐롤린 윌키(Carolyn Wilke)

* 번역=요네이 카오리(米井香織)

*일본어원문=古代都市ペトラかつては3万人生活バラ古都がつくり なぜてられたのか

* 출처=https://natgeo.nikkeibp.co.jp › atcl ›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