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寒(춘한)
청/淸 려악/厲鶚
-봄추위-
부질없이 봄옷을 벗어 붉은 얼룩 씻으니
강남 삼월은 가장 바람이 많은 계절
배꽃 눈처럼 지고 나면 차나무 꽃, 눈처럼 피어
나는 두 겹 발속에서 졸음을 청하노라.
漫脫春衣浣酒紅(만탈춘의완주홍)
江南三月最多風(강남삼월최다풍)
梨花雪後酴醾雪(이화설후도미설)
人在重簾淺夢中(인재중렴천몽중)
*만(漫)-부질없이 *탈(脫)-벗다. *완(浣)-씻다. *주(酒)-술. *홍(紅)-붉다. *이(梨)-배. *도(酴)-술밑 *미(醾)-술밑 *재(在)-있다. *중(重)-거듭. *렴(簾)-발. *천(淺)-옅다. *몽(夢)-꿈. *도미(酴醾)-차나무 이름. *주홍(酒紅)-술로 붉은 얼룩. *중렴(重簾)-두 겹의 발.
감상
3월이면 봄도 늦은 봄이라 따뜻할 줄 알고 부질없이 봄옷을 벗어 술로 붉게 물든 얼룩을 씻었는데, 이 강남 지방의 삼월은 가장 바람이 많은 계절이라서 좀 추운 기운이 있다는 여운을 남긴다. 배꽃이 피고 눈처럼 지고 나면, 차나무 꽃이 눈처럼 피기 시작하는데, 나는 두 겹의 발을 치고 그 안에서 졸음을 청하노라고 읊고 있다.
제 2, 3구에서 강남의 늦은 봄 풍경을 읊고 있으며, 1구와 4구에서 <주홍(酒紅)> 곧 <술로 붉게 진 얼룩>이나 <천몽중(淺夢中)>이라는 표현에서 <춘곤증으로 인한 졸음>을 연상하게 하여 은근히 나른하고 한가로운 느낌을 준다.
작자
려악(厲鶚)(1691-1752)
청나라의 시인이다. 자는 태홍(太鴻), 호는 번수(樊樹), 전당(錢塘)(절강성항주/浙江省杭州) 사람이다. 송대(宋代) 문학의 연구가로서 <송시기학(宋詩紀學)>을 저술하였다.
'한시감상 > 중국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春思(춘사) (0) | 2010.05.17 |
---|---|
豊樂亭遊春(풍락정유춘) (0) | 2010.05.03 |
除夜作(제야작) (0) | 2010.02.13 |
雪梅(설매) (0) | 2010.01.31 |
尋隱者不遇(심은자불우) (0) | 201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