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가>보다 큰 <퀘타> 등 등장(1/2)
-국제도량형총회에서 SI접두어 채택-
스마트폰 데이터통신량의 화제로 자주 들을 수 있는 <기가 (Giga)> 등수의 단계를 나타내는 <SI(국제단위계)접두어>에 새로운 이웃이 더해졌다. <기가>보다 훨씬 큰 <퀘타 (Queta)>나 <로나(Lona)> 등 4개이다. 추가는 31년만이다. 프랑스에서 열린 국제도량형총회에서 18일(2022년) 추가 안이 채택되었다.
SI접두어는 십진수의 계단 수(주로 3계단)에 이름을 정한 것이다. 가까운 예는 <기가(10의 9승)>이나 <밀리(10의 마이너스 3승)>이다. <헬츠(Herz)>나 <미터(meter)>라는 단위의 앞에 쓰임으로써 매우 큰 양이나 극히 적은 양을 간결하게 표시할 수가 있다.
이번 더해진 것은 10의 30승을 나타내는 <퀘타 (Queta)>와 27승을 나타내는 <로나>, 10의 마이너스 27승을 나타내는 <론토(Lonto) >와 마이너스 30승을 나타내는 <퀙토 (quecto)>이다.
배경에 있는 것은 정보과학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데이터양의 폭발적인 증가이다. 미국의 조사회사IDC에 따르면 2010년에 세계에 존재했던 디지털데이터양은 약 1제타(zetta/10의 21승)바이트 (byte)였는데 25년에는 약 175제타바이트 (zettabyte)가 된다고 예측되고 있다.
일본어원문=ギガより大きい「クエタ」など登場 国際度量衡総会でSI接頭語採択
출처=https://www.asahi.com/articles/ASQCL441NQC6ULBH006.html
'상식 > 언어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2) | 2023.03.11 |
---|---|
<기가>보다 큰 <퀘타> 등 등장(2/2) (1) | 2022.11.22 |
메가, 기가, 테라-- 더 위는 무엇으로 할 것인가? (0) | 2022.05.07 |
수 세는 법 (0) | 2022.03.20 |
외래어 모음 (7) | 201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