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대뇌피질 3

<수면 연구>의 제일인자에게 듣는다.(1/3)

의 제일인자에게 듣는다.(1/3) -쇼트슬리퍼는 몸에 나쁘다? 수면의 최전선- 잠이 좋고 나쁨을 좌우하는 수면이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기준의 하나는 수면 사이클이다. 흔히 하고 말하지만 야나기사와 교수는 고 말한다. 야나기사와 교수에 따르면 객관적으로 좋은 잠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준의 하나는 이라 한다. 우리가 잠자는 동안 뇌는 소위 이나 이라는 상태를 갔다 왔다 한다. 렘수면 중에는 잠이 한창인데도 불구하고 대뇌피질(사고 등에 관계하는 뇌의 부분)의 상태는 각성 시와 가깝다. 이란

과학/과학 2022.05.23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1)

기억이란 주무르거나 지울 수 있는가. (1) 과거의 일을 잊어버릴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 일이 없는가? 또 과거의 기억이 트라우마 (Trauma/심적 외상) 가 되어 현재의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있다. 과연 기억은 의도적으로 지우거나 수정하거나 할 수 있는가? 이하에서 전문가 6명의 견해를 들어보자. 1, 에서 감정적요소를 지우는 약 Samuel Schacher(콜롬비아대학 신경과학 명예교수) 기억은 지울 수 있는가? 원리상으로는 가능하다. 단지 실제로는 꽤 어렵다. 최신의 신경과학에 의한 증거는 기억이라는 것이 드물게 부호화되고 있다고 시사하고 있다. 어떤 일인가 하면 기억의 거의 보존되는 대뇌피질에는 약 150억이라는 신경세포가 있는데 어떤 특정한 기억의 보존에는 그 중의 수백만이 관..

과학/과학 2022.01.24

최신 연구가 밝힌 <머리가 좋은 사람, 나쁜 사람>은 무엇이 다른가? (4)

최신 연구가 밝힌 은 무엇이 다른가? (4) --열쇠를 잡은 것은 의 움직임-- 진화적인 고등동물일수록 글리알세포(신경아교세포)가 많다? 진화적으로 보다 복잡한 뇌를 가진 동물만큼 대뇌피질의 체적이 보다 증가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사람에게서는 대뇌피질이 크게 발달하였기 때문에 일부러 대뇌 신 피질이라고 부르는 일도 있다. 뇌가 커짐에 따라 당연히 뉴런의 수도 증가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글리아 세포는 어떠한가. 여러 가지 동물의 대뇌피질에서 뉴런의 수에 대한 글리알세포의 수의 비율이 추정되고 있다. 예를 들면 쥐 같은 설치류나 토끼에서는 0.3, 조류에서는 0.4-0.6, 고양이에서는 약 1.1, 말은 약 1.2 사람은 1.3-2로 진화적으로 보다 복잡한 뇌를 가짐에 따라 착실히 증가하는 경향..

과학/과학 2021.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