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AI(인공지능)에 대하여

AI 도입의 이점 구체 사례(2/7)

간천(澗泉) naganchun 2025. 5. 31. 03:42

AI 도입의 이점 구체 사례(2/7)

 

 

 

 

주식회사 그리드(Grid)가 제공하는 ReNom"현장의 문제를 현장 주도로 해결한다"를 콘셉트로 개발된 AI 모델 생성 플랫폼이다. 회사 이사인 와타나베 씨가 제조업 도입 사례를 설명해 주었다.

수처리 플랜트를 제조·판매하는 수처리 시설에서는 상하수도를 흐르는 물을 정화하는 공정 중 기포의 형태나 미생물 유무를 육안으로 판별하여 수질을 조사하는 작업을 AI가 대체했다. 또한 자동차 제조업체에서는 기존에 차종별로 1분 안에 약 20가지 확인 사항을 육안으로 검사해야 했던 작업자의 부담을, AI 도입으로 효율화할 수 있었다.

이처럼 제조업의 검사 공정에 AI 검사 장치를 도입함으로써 숙련된 인력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작업 부담 경감 및 효율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공장·플랜트 현장의 필독! 차세대 AI 도입의 표준

 

4, 【농업】AI로 변화하는 스마트 농업

 

■ 수확과 분류를 자동화하는 이미지 인식 기술|

AI 탑재 제품·서비스 비교 목록 및 도입 사례, 자료 요청을 무료로 할 수 있는 AI 포털 미디어

농업은 자연이라는 불확실한 조건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랜 경험과 기술이 중시되어온 분야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농업에도 AI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AI, IoT(사물인터넷), 센서, 위치 정보 시스템, 로봇, 빅데이터 등 기술을 활용한 농업을 ‘스마트 농업’이라고 한다. 스마트 농업의 도입으로 농작업의 노동 절감과 작업자 부담 경감이 가능해지며, 농장 규모 확대와 수확량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농업 기술과 노하우를 데이터화할 수 있어, 신규 농업 종사자에게 기술 전수가 쉬워지고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수확 및 분류를 자동화하는 AI의 구조란?

 

* 출처=AIsmiley

https://aismiley.co.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