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숙주 3

어째서 기생충은 중요한가.(3)

어째서 기생충은 중요한가.(3) -그 놀라운 전략과 역할이란- 더욱 기생생물의 보호를 고 말하는 것은 미국 비츠버그대학에서 진화기생생물학을 연구하고 있는 제시카 스티븐손 조교수이다. 예를 들면 기생생물이 보호프로그램의 대상이 되는 일은 거의 없는데 그들은 여러 가지의 의미에서 다른 생물보다 큰 위협에 놓여있다. 특히 영향이 큰 것이 기후변동이다. 급격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영향은 직접적으로 과거에는 몇 번인가 대량절멸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복수의 생물이 기생하는 숙주가 절멸하면 복수의 기생종이 한꺼번에 절멸하지 않을 수 없다. 2020년 10월 구와크 씨 등은 학술지 「Biological Conservation」의 특별호에 을 요구하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논문에는 고 적혀있음과 동시에 기생생물을 보호종..

과학/과학 2022.01.07

어째서 기생충은 중요한가.(1)

어째서 기생충은 중요한가.(1) -그 놀라운 전략과 역할이란- 기생은 공생의 일종, 세계적인 보호계획도 제창되고 있다. 기생충이라고 하면 대개의 사람들은 끔찍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기생충을 나타내는 라는 영어의 어원은 라는 그리스어이다.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스미소니안국립박물관의 진화생물학자 지미 바노트 씨에 따르면 기생은 이다. 그런 점에서 기생생물은 조금 존경받아도 좋을 것이 아닌지 모른다. 기생이라는 형태는 동물, 식물, 균류, 세균 그리고 바이러스까지 모든 생물에 걸쳐있다. 흡혈박쥐나 작은 수놈과 암놈이 일체화하여 생식하는 *초롱아귀 등은 그 다양한 형태의 좋은 예이다. ===*초롱아귀는 초롱아귀과에 속하는 육식어류이다. 수심 800m 이하의 심해에서 서식한다. 몸은 럭비공처럼 생겼고 뼈 돌기 ..

과학/과학 2022.01.05

코로나바이러스가<일본에서는 소멸하였다>고 할 수 있는 이유

코로나바이러스가 고 할 수 있는 이유 일본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의 감소는 바이러스가 자멸한다는 가 아닌가 하는 설을 전편 를 전했다. 후편은 다시 전문가에 따른 그 이외의 감소요인을 해설한다. 바이러스는 자연 소멸한다. 역사적인 팬데믹의 사례를 보아도 증감을 반복한 후에 돌연 마무리로 향했다. 예를 들면 1918년부터 유행한 스페인독감이다. 당시 세계 인구 3할 이상이 감염하여 수천 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전 세계에서 원인인 병원체를 추구하여 연구하였지만 아무 것도 판명되기 전에 약 4년으로 자연히 마무리하였다. 당시 스페인독감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이제 일본의 상황에 비추어보자. 를 가져온 것은 감염력이 높은 변이 바이러스 바이러스이다. 이 변이주가 높은 복제력을 획득하지 않았기에 피크에 1일 2만 ..

과학/과학 2021.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