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과학자

2, 아이작 뉴턴(1642~1727) 이야기(9/13)

간천(澗泉) naganchun 2024. 4. 4. 06:56

2, 아이작 뉴턴(1642~1727) 이야기(9/13)

==떨어지는 사과에서 힌트를 얻어 근대과학의 기초를 구축했다.==

 

 

8, 업적

 

1)  운동의 3법칙

* 운동의 제1법칙(관성의 법칙)-외부로부터 힘을 받지 않으면 정지한 채로이나 등속직선운동을 계속한다.

* 운동의 제2법칙(가속도의 법칙) -물체가 받는 힘(f)는 물체의 질량(m)과 가속도(a)의 적에 비례한다. f=ma.

* 운동의 제3법칙(작용반작용의 법칙)-물체 A가 다른 물체 B에 힘을 걸면 물체 A는 물체 B에서 같은 크기로      방향이 역의 힘을 받는다.

 

2) 역학

 

만유인력의 법칙-만유인력-질량 Mm의 물체가 거리r가 떨어져 있을 때 2개의 물체 사이에는 만유인력

f=GMm.r-2(질량의 적()에 비례하여 거리의 2승에 반비례한다) 작용한다.

 

3) 광학(광의 입자론)-

백색광이 모든 색의 혼합이다. 백색광은 프리즘에 의하여 여러 가지 색으로 분할된다. 색에 따라 굴절률이 다름을 밝혔다. 그래서 이것을 <입자>의 입장에서 설명하였는데 그가 발견한 <뉴턴링그>(Newton's rings/간섭의 주기성)는 잘 설명하지 못하였다.

20세기 초두에 빛은 파동과 입자의 이면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4) 미분적분법-

뉴턴은 곡률법이라 불렀다. 곡선의 접선을 구하는 방법(미분법), 곡선으로 둘러진 부분의 면적을 구하는 법(적분법)을 개발했다.이들은 서로 역연산이라는 것도 발견했다.

 

5) 조폐국장관-

제자인 대장대신 몬타규(Charles Montagu, 16611715가 수입을 확보할 수 있는 자리로 조폐국장관 벼슬을 주었다. 사망 시까지 이 자리를 유지하였다.

 

6) 연금술-

연금술이란 철과 동 등의 보통의 금속을 금으로 바꾸려는 것이다, 케임브리지에 살던 무렵 줄곧 연금술에 빠졌었다. 당시에는 실험의 생성물은 핥는 것이 상식이었다.

그래서 연금술에는 수은이 쓰인다. 뉴턴 사후 유발에서는 고농도의 수은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7) 성서연대학과 종교관-

성서의 기술을 읽어서 적혀있는 사실이 언제의 것인지를 계산한다. 뉴턴은 열심인 기독교인이었다. 크리스트의 신성(삼위일체 부정)을 인정하지 않는 유니티리안(Unitarianism이었던 것 같다.

 

8) 국회의원-

대학에서 내는 국회의원이었으나 1기에 그치고 발언도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