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백신의 4개의 의문과 회답
신종 코로나 백신의 4개의 의문과 회답
1, 백신의 유효성은 어느 정도인가?
세계에서 가장 백신 접종이 빨리 진행되고 있는 것은 이스라엘이다. 2월 19일 단계에서 국민의 4할(인구 약900만)을 넘는 400만 명 이상이 1차 백신 접종을 마쳤다고 보도하고 있다.
2월 14일 이스라엘 의료기관 클랄리트는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사람과 미접종한 사람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 수를 비교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백센 접종한 그룹(약60만명)에 비해서 증상이 나타난 자가 94% 약 다시 중증예도 92% 감소하고 있다고 한다.
약 4만 명이 참가한 화이자의 임시시험에서는 백신을 접종한 그룹에 증상이 나타난 자가 약 95% 감소했다고 하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클랄리트(Clalit)의 보고에서는 계속하여 추적조사를 행한다고 한다. 최종적으로 유효율에 대해서는 변동할 수가 있다고 예상되지만 대강 화이자의 임시시험의 결과와 동등의 높은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또 화이자의 임상시험에서는 70세 이상의 고령자에 대한 결과가 적고 유효성 등에 대하여 충분한 결론을 얻지는 못하였다. 이스라엘의 보고에서는 16세 이상 모든 사람(70세 이상을 포함)에 대하여 널리 효과가 확인되었다고 하고 있다.
이스라엘 보건성에서는 백신 접종 후 반응으로서 주사 부위의 붓고 아픔, 발열, 오한, 권태감, 두통, 무력감, 근육통, 관절통, 토기, 림프선 종창 등의 증상이 보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들 증상은 2회째 백신 접종에서 조금 많았다. 또 알레르기 반응의 일종인 아나필락시 반응은 드물다고 한다.
이스라엘에서는 백신 접종 후 어떤 유해한 일이 발생하면 인과관계의 유무에 무관하게 관리시스템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단지 이번 조사한 범위에서는 자세한 유해사상의 총수에 대한 기재는 보이지 않았다.(데이터의 소재를 안 경우 추기예정)
* 유해사상이란 백신 접종 후 일어난 <모든 나쁜 일>이다. 벼락을 맞는다든지 교통사고를 당한다든지 백신과의 인과관계의 유무에 무관하게 집계된다.
2, 백신 접종 후의 부작용은 결국 어느 정도인가?
화이자가 백신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행한 제3상 임상시험에는 4만 3548명이 참가하였다.
이 중 실제로 주사를 맞은 사람은 4만 3448명이다. 약 반수인 2만1720명에게 백신을 접종하고 나머지 2만 1728명에게는 위약이 투여되었다.
2번째의 투여로부터 7일 이후에 증상이 나타난 COVID-19의 환자수를 이 2개의 그룹으로 비교한바 백신을 접종한 그룹에서는 8명, 위약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162명이었다.
백신을 접종하지 않으면 162명이 증상이 나타나는데 8명(162명과 비교하면 5%)밖에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으로 약 95%의 증상이 나타나는 예방효과가 있다고 하는 셈이다.
백신 접종 시에 생기는 부작용
1월 27일의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의 보고에서는 화이자, 모더나 각각의 백신 접종 직후 7일간에 생긴 주된 반응에 대하여 미국의 부작용조사시스템 <V-safe>에 등록된 비율이 아래와 같이 정리 되고 있다.(증상의 대소에 대해서의 기재는 확인되지 않았다.)
mRNA백신 접종시 부작용 보고
구분 | 접종 부만 |
권태감 | 두통 | 근육통 | 오한 | 발열 | 접종부 부종 |
관절통 | 토기 |
Pfizer BioNtech 1회접종시 |
67.7 | 28.6 | 25.6 | 17.2 | 7.0 | 7.4 | 6.8 | 7.1 | 7.0 |
Pfizer BioNtech 2회접종시 |
74.8 | 50.0 | 41.9 | 41.6 | 26.7 | 25.2 | 26.7 | 21.2 | 13.9 |
Moderna 제1회접종시 |
70.1 | 29.7 | 26.0 | 19.6 | 9.1 | 9.1 | 13.4 | 8.6 | 7.7 |
* 미국질병대책예방센터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ACIP)
Junuary 27,2021. <Covid-19 Vacine Safty Update>를 기초로 작성
V-safe에 적어도 1회는 등록한 사람 수는 화이자의 백신을 접종한 그룹에서 약 100만 명, 모더나 백신을 접종한 그룹에서는 약 108만 명이었다.
또 이 단계에서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인수는 약 1200만 명, 모더나 백신을 접종한 인수는 약 900만 명임에도 동시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백신 접종 후 7일 이내에 V-safe에 보고가 있었던 증상 비율이다. 어느 쪽 백신에 대해서도 보고건수는 약 100만 건이다. 모더나의 2번째 접종 후의 데이터는 없었다.
일본에서 의료종사자에게 접종이 시작된 화이자 백신에는 일반적인 국소증상으로서 팔이 통증이나 붓기가 보고되고 있다.
또 전신 증상으로서는 오한이나 권태감, 두통이 많다. 이것은 화이자의 임상시험에서도 보고되고 있는 것이다.
또 CDC도 이스라엘처럼 1번째 접종시보다 2번째 접종이가 전신 증상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또 화이자의 임상시험 결과의 상세를 보면 증상의 대소에 응한 빈도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보고되고 있는 국소증상은 전신증상의 태반은 <경도>에서 <중등도>이다. 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증상은 적다.
2번째 백신 접종 후 생긴 이상생활을 방해하는 <중도>이상의 증상 중 2% 이상의 빈도로 나타난 것은 권태감(3.8%)와 두통(2.0)뿐이다.(이 데이터의 모수는 위약군을 포함하여 8183명)
그러나 38도 전후의 발열 등도 경도로 분류되고 있으므로 금후 백신을 접종할 경우는 1-2일 정도 안정할 수 있도록 휴가를 확보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 일본에서 승인된 화이자 백신의 국내 치료 시험에는 2번 백신 접종 후에 접종부위의 통증을 인정한 사람이 약 80%, 37.5도 이상의 발열이 있었던 사람이 약 33%, 피로, 권태감을 호소한 사람이 약 60%이다.
3, 걱정되는 아나필락시(anaphylaxis)의 빈도는?
또 해외에서 접종이 시작되어서 낮은 빈도로 알레르기 반응의 일종인 아나필락시가 확인되어서 주목되고 있다.
2020년1월 17일에는 CDC에서 아나필락시에 관한 조사결과가 보고되었다.
거기에는 2020년 12월 14-23일 사이에 백신을 접종한 약 190만 명 중 중한 아나필락시 증상을 나타낸 건수는 21건이다.
그 중 71%는 백신접종에서 15분 이내에 발생하고 있었다. 또 아나필락시에 의하여 사망한 예는 없었다.
또 그 후 미국 국내에서 접종이 진행됨에 따라 아나필락시에 관한 데이터가 경신되었다. 1월 27일 자료에서는 mRNA백신(화이자제, 모더나제)를 접종한 경우에 아나필락시를 나타낸 비율은 100만인 중 2-5건 정도로 전망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수상 관저의 백신에 관한 웹페이지에서 미국의 보고를 인용하는 형식으로 아나필락시 발생 비율을 <100만 명 중 5명>이라 나타내었다.
또 일본에서의 접종에 대해서는 백신 접종 후 15-30분경과를 보고 아나필락시가 발생한 경우에는 의료종사자가 필요한 대응을 행한다고 한다.
또 화이자사가 개발한 백신이거나 모더나사가 개발한 백신이거나 CDC에서는 mRNA백신의 1번째 접종에서 중도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 사람은 2번째 접종을 행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통상의 식물 알레르기 등의 사람에 대해서는 접종을 권한다. 일본에서의 운용도 적어도 현시점에서 승인된 화이자 백신에서는 같다.*
* 아나필락시(anaphylaxis)=알레르기의 원인 물질을 섭취하거나 그에 접촉했을 때 급격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피부증상(마진. 가려움), 호흡기증상(숨 막힘), 소화기증상(복통. 설사. 구토), 순환기증상(의식장해) 등이 특징이다.*
*일본어원문=新型コロナワクチン4つの疑問と回答。「データ」で見る副反応、有効 性、アナフィラキシーまで(중에서 발췌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