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의 고전/맹자의 명언 명구

<맹자> 공손추장구 하편의 명언 명구

간천(澗泉) naganchun 2009. 6. 23. 05:04

 

<맹자> 공손추장구 하편의 명언 명구

 

48,

천시는 지리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만 못하다.

 

천시를 얻었다 해도 지리를 얻는 것만 못하고 지리를 얻었다 해도 인화 곧 사람이 화목해서 단결됨만 못하다. 무슨 일이나 성공하려면 천시, 지리, 인화가 모두 중요하나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인화이다.

 

天時는 不如地利요 地利는 不如人和니라.(孟子 公孫丑下)

천시는 불여지리요 지리는 불여인화니라.(맹자 공손추하)

ㅇ천(天)-하늘. ㅇ시(時)-때. ㅇ천시(天時)-사시와 일진과 방위와 관련하여 율한 때. ㅇ불(不)-아니다. ㅇ여(如)-같다. ㅇ불여(不如)-못하다. ㅇ지(地)-땅. ㅇ리(利)-이롭다. ㅇ화(和)-고르다. 화하다.

 

49,

도를 얻은 자는 도와주는 사람이 많고, 도를 잃은 자는 도와주는 사람이 적다.

 

왕자(王者)의 도 곧 인의(仁義)의 도를 얻은 사람에게는 많은 사람이 그를 도와주는데, 왕자의 도 곧 인의의 도를 잃은 사람에게는 도와주는 사람이 적다.

 

得道者는 多助하고 失道者는 寡助라.(孟子 公孫丑下)

득도자는 다조하고 실도자는 과조라.(맹자 공손추하)

ㅇ득(득)-얻다. ㅇ득도==왕자의 도를 체득함. ㅇ조(助)-돕다. ㅇ실(失)-잃다. ㅇ과(寡)-적다.

 

50,

도와주는 사람이 적은 경우에는 친척도 배반하고,

도와주는 사람이 많은 경우에는 천하가 다 순종한다.

 

도와주는 사람이 많으면 천하 모든 사람이 따르지마는 도와주는 사람이 적으면 심지어 친척마저도 배반한다.

 

寡助之至에는 親戚畔之하고 多助之至에는 天下順之니라.(孟子 公孫丑下)

과조지지에는 친척반지하고 다조지지에는 천하순지니라.(맹자 공손추하)

ㅇ친(親)-친족. ㅇ척(戚)-친족. ㅇ반(畔)-배반하다. ㅇ순(順)-순하다.

 

51,

그들이 부를 가지고 하면 나는 인을 가지고 하고, 그들이 벼슬을

가지고 하면 나는 의를 가지고 하리니 내가 어찌 그들만 못하겠는가.

 

상대가 부 곧 재력을 자랑하면 나는 인을 가지고 대항하고, 그들이 벼슬을 자랑한다면 나는 의를 가지고 그에 대항한다. 그러면 어찌해서 내가 그들만 못하겠는가. 인의(仁義)의 도(道)에 착실하다면 상대가 누구이든 내가 두려워할 까닭이 있겠는가.

 

彼以其富어든 我以吾仁이오 彼以其爵이어든

피이기부어든 아이오인이오 피이기작이어든

我以吾義니 吾何慊乎哉리오.(孟子 公孫丑下)

아이오의니 오하겸호재리오.(맹자 공손추하)

ㅇ피(彼)-저. ㅇ부(富)-부하다. ㅇ이(以)-_으로써. ㅇ작(爵)-벼슬. ㅇ겸(慊)-만족하지 않다.

 

52,

벼슬을 가진 자가 그 직책을 다하지 못하면 떠나가야 한다.

 

관직을 가진 자가 그 직책을 다하지 못하게 되면 물러나는 것이 당연하다.

 

有官守者는 不得其職則去하니라.(孟子 公孫丑下)

유관수자는 부득기직즉거하니라.(맹자 공손추하)

ㅇ유(有)-있다. ㅇ관(官)-벼슬. ㅇ수(守)-지키다. ㅇ직(職)-직책.

ㅇ거(去)-떠나다. 가다. ㅇ부득(不得)-어쩔 수 없이.

 

53,

군자는 천하의 재물을 아끼기 위해서 부모의 상을 절약하지 않는다.

 

부모의 상을 치르는 데는 가능한 대로 비용을 써서 잘 치러야 한다. 절약이라는 명목으로 간소하게 하여 비용을 줄여서는 안 된다.

 

君子는 不以天下儉其親이니라.(孟子 公孫丑下)

군자는 불이천하검기친이니라.(맹자 공손추하)

ㅇ이(以)-위하다. ㅇ검(儉)-검소하다. 절약하다. ㅇ친(親)-어버이.

 

54,

그 때도 한 때요, 이때도 한 때라.

 

그 때는 그 때이고 이때는 이 때이니 시세(時勢)에 맞추어 일을 처리해야 한다.

 

彼一時며 此一時也니라.(孟子 公孫丑下)

피일시며 차일시야니라.(맹자 공손취하)

ㅇ피(彼)-저. ㅇ차(此)-이.